맥클로린 급수
함수 f(x)를 아래와 같이 표현하면 급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.
급수 판정에 의해 n번째 항까지 구하면 그 급수와 실제 함수 값의 차이(오차)는
n번 째 항보다 작다.
테일러 급수 식
문제 1
풀이
테일러 급수 기본 형태를 생각하면 쉽게 풀리는 문제이다.
(x-a)^n 에서 a가 0 임으로 맥클로린 급수 이다.
맥클로린 급수 형태로 나타낸 후 n에 0을 대입하면 된다.
테일러 급수의 정의를 아냐 라는 문제이다.
문제 2
1. 함수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jE48J8kno413r318uU0d7zKFx9dIC10xn23Qo7Od-vWA83GHSe4_sgMaScfIhHUniyznW2ECvw_mr4gFZIw2z-5mFl0F6K-CyoE0tfo4NZ5O3GLYhltRgDuPuG93xuhWXNTusizIhwEnsZ/s1600/1%25EC%259B%2594+9%25EC%259D%25BC.png)
풀이
ln(x+1) 의 맥클로린 급수정도는 외워두자....
문제 3
함수
에 대한 매클로린급수의 수렴구간은?
일 때 , x=0 에서 Talyor 다항식의 x^5 까지 구하시오.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jE48J8kno413r318uU0d7zKFx9dIC10xn23Qo7Od-vWA83GHSe4_sgMaScfIhHUniyznW2ECvw_mr4gFZIw2z-5mFl0F6K-CyoE0tfo4NZ5O3GLYhltRgDuPuG93xuhWXNTusizIhwEnsZ/s1600/1%25EC%259B%2594+9%25EC%259D%25BC.png)
풀이
ln(1+x)의 매클로린 급수를 알고 있어야 한다.
이 정도는 외워두자..
x =1 일 때와 x=-1 일 때 함수의 수렴을 판단하는 부분에서
1)과 2) 부분에서
각각
(-1)^(2n+1)
(-1)^n+1
이다.
마지막 시그마 값에 -만 붙여주면 되서 수렴 발산판정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
계산 실수다 ;;
문제 4
풀이
로피탈 정리로 계산할 수도 있겠지만 맥클로린 급수로 풀어보겠어!
문제 5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h9eF7lDK4jvBcrZLXVZYcXoS6YlG5WcWGNozA1SCgoLChmm6wUSng576FLqSzwzSPWj68Uz5ucdzi3Gnyezllgmb1m19KQjQHPaz7sD6e6tIpNa4W1WcgRNSI4kW-Kb1Kdzrh5sO0YZaS0/s1600/%25EB%25AC%25B8%25EC%25A0%259C+9.png)
풀이
문제 6
풀이
맥클로린 급수로 표현하여 x^11 에 해당하는 항을 찾아 비교하면 풀 수 있다.
11번 미분하면서 x^11 보다 작은 항은 사라질 것이고
11승보다 큰 항들은 x에 0을 대입하면서 사라질 것이다.
문제 7
풀이
1 comment:
1번에서
a(0) = f^(0)(0)/0! 인데
a(0) = f(0)이 된 이유에대해서 설명해주실수 있나요?
Post a Comment